본문 바로가기
마케터의 관점

[BMC모델]📍“감성을 팔아 돈을 번다? 마뗑킴은 어떻게 가능했을까”

by Grow with Y 2025. 5. 22.
반응형

마뗑킴, 심플하지만 볼드한 감성으로 시장을 설득한 브랜드

2020년대 한국 패션 시장에서 ‘마뗑킴(Matin Kim)’만큼 주목받은 브랜드는 흔치 않습니다.

거대한 자본이나 화려한 광고 없이도 마뗑킴은 독립 디자이너 브랜드로서 이례적인 팬덤을 구축했고,

제품 하나하나에 공감이라는 가치를 입혀 소비자와 진정한 연결을 만들어냈습니다.

옷을 잘 만드는 것을 넘어, 감정을 입히는 브랜드. 마뗑킴은 그렇게 스타일보다 태도를 제안하며 시장을 움직여왔습니다.


2. 마뗑킴을 한 장으로 이해하는 법: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블록 주요 구성 설명
핵심 파트너 OEM/ODM 생산자, 무신사/29CM, 스타일리스트 생산-유통을 효율화하는 실질 파트너
핵심 활동 드롭 기획, SNS 콘텐츠, 협업 캡슐 컬렉션 감성 연출을 위한 콘텐츠 운영 역량
핵심 자원 김다인 디렉터, 감성 피드, 팬덤 브랜드 무드 자체가 자산
가치 제안 ‘지금의 나’를 대변하는 스타일 제안 감정에 반응하는 브랜드
고객 관계 DM 기반 대응, 셀럽 연계 콘텐츠 커뮤니티처럼 느껴지는 연결
채널 자사몰, 편집샵, 팝업스토어 자사 중심 → 셀렉트샵 병행
고객 세그먼트 20~30대 여성, ‘감도 높은’ 소비자 트렌디함+희소성을 원하는 층
비용 구조 콘텐츠/촬영 비용, 소량생산 단가 감성 생산에 드는 투입 원가
수익 구조 자사몰 마진, 드롭 완판 구조 DTC 매출 중심 구조

감성으로 설계한 수익 구조는 현실적으로도 강하다

마뗑킴이 단지 감각만으로 성공했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입니다.

브랜드를 구조화하여, 볼드하게 만들고 카테고리/채널의 확장성도 고려하였습니다.

자사몰 중심의 판매 전략(DTC), 리미티드 드롭 방식의 공급 구조, 콘텐츠 기반 마케팅, SNS 팬덤을 통한 커뮤니티 운영까지...

마뗑킴은 감정을 설계하고 경험을 매출로 연결하는 모델을 구축했습니다.

2023년 기준, 마뗑킴은 약 200억 원 규모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 중 자사몰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대부분의 이커머스 제품의 채널 비중이 쿠팡임을 감안할 때 어렵게 시작했지만, 자사몰에서 집중하여 키우는 방식은 아주 흥미롭습니다. 

 

입점 플랫폼의 수수료 부담에도 불구하고 브랜드가 자사몰을 유지하는 이유는,

브랜드 경험 전체를 고객과 직접 주고받기 위함이며, 이를 바탕으로 충실한 고객 피드백을 통해 브랜드 인게이지먼트를 이루고 있습니다. 

 

제품은 정기적이지 않은, 예고된 ‘드롭(drop)’ 방식으로 한정 출시되며, 빠른 품절은 희소성을 강화합니다.

소비자는 이 리듬에 익숙해지고, 구매 자체가 하나의 이벤트가 됩니다. 콘텐츠는 룩북이 아니라, ‘오늘의 감정’을 담은 한 컷입니다. 이 방식은 제품 판매를 넘어서 브랜드에 대한 애착을 만들어내며, 결과적으로 팬덤은 브랜드의 가장 큰 자산이 됩니다.

마뗑킴 홈페이지


숫자로 보는 마뗑킴의 구조

아래 표는 마뗑킴의 비즈니스 구조를 간단히 정리한 것입니다.

감정 기반 브랜딩이 수익 구조와 어떤 방식으로 연결되는지를 보여줍니다.

구분 내용
주요 채널 자사몰, 무신사, 29CM 등
수익 모델 제품 판매, 리미티드 드롭, 콜라보 제품
핵심 비용 콘텐츠 제작, 소량 생산 단가, 물류 수수료
고객층 20~30대 감성 지향 여성 소비자
 

이 구조의 핵심은 자기 표현의 욕구를 브랜드 경험으로 연결시키는 것입니다. 소비자는 옷을 고를 때 스타일만 보지 않습니다. 그것이 말하는 메시지를 함께 입습니다. 마뗑킴은 그 메시지를 아주 섬세하게 전달해 왔습니다.

세계는 어떻게 패션 브랜드를 평가할까요?

마뗑킴은 글로벌 경쟁 브랜드와 비교했을 때, 소통 중심 감성 브랜드라는 독자적 포지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유럽의 대표적인 감성 브랜드인 Ganni는 지속가능한 소재를 적극 도입하며 친환경 기반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화했고, 프랑스의 Jacquemus는 미니멀리즘을 시각 언어로 바꾸며 럭셔리한 감각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Ader Error는 예술과 실험성을 결합해 스타일이 메시지가 되는 브랜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마뗑킴은 이들과 조금 다릅니다.

환경, 실험성, 트렌드보다는 지금 이 순간의 나에 집중합니다. 그래서인지 마뗑킴의 콘텐츠는 늘 사람 냄새가 납니다. 표정, 몸짓, 조명, 음악, 그리고 스타일. 그 모든 것이 감정의 순간을 구성하며, 소비자는 자신이 거기에 들어갈 수 있을 것 같다고 느끼게 됩니다.

마뗑킴이 다음 단계로 성장하려면?

마뗑킴의 다음 단계는 단순 확장이 아닌, 브랜드 철학을 지키면서도 지속 가능성과 글로벌 경험을 키우는 방식이어야 합니다.

방향 아이디어 실행 방안
해외 확장 아시아 대상 글로벌 미니 드롭 플랫폼 운영 팝업 한정 수량 드롭으로 연결
라이프스타일화 향수·소품·립스틱 등 비의류 제품 라인화 마뗑킴 무드를 오감으로 전달
사용자 경험 강화 팬과 함께 만드는 캡슐 드롭 유튜브/인스타 댓글 기반 투표 방식 기획
 

마뗑킴을 응원하는 고객의 목소리

  • 사진이랑 실물이 비슷해서 만족해요.
  • 자주 품절돼서 구하기가 너무 힘들어요 ㅠ
  • 브랜드 감성이 너무 강해서 꼭 갖고 싶어지는 아이템이에요.
  • 포장, 언박싱까지 브랜드 무드를 느낄 수 있었어요.

글로벌 패션 브랜드 비교 분석 (데이터 기반)


브랜드명 전략 포지셔닝 유통채널 가격대 지속 가능성 소구 고객참여도
마뗑킴 감성 중심 드롭 자사몰, 무신사, 29CM 중고가 제한적 매우 높음
Ader Error 아트워크 중심 스트리트 감성 글로벌 편집숍, 자사몰 중고가~고가 일부 지속가능 소재 사용 중간
Ganni 북유럽 감성 + 지속가능성 글로벌 편집숍, 자사몰 중고가 높은 지속가능 기준 운영 중간
Jacquemus 프렌치 미니멀리즘 하이엔드 편집숍 고가 제한적 낮음
Stella McCartney 지속가능 럭셔리 글로벌 백화점, 자사몰 고가 매우 높은 지속가능성 낮음
 

🔍 요약 인사이트:

  • 마뗑킴은 고객과의 감성적 유대를 기반으로 고도화된 팬덤을 유지하고 있으나,
  • 지속가능성(소재/공정/패키징 등)에 대한 개선은 브랜드 신뢰도와 글로벌 진출 시 요구사항으로 연결됨.

나도 패션 브랜드를 시작할 수 있을까?

💡 Step 1. 피드부터 시작

스타일링보다 중요한 건 감정이 묻어나는 피드. 지금 입은 옷에 '왜'라는 설명이 붙는 순간, 콘텐츠가 됩니다.

💡 Step 2. 굿즈로 실험

엽서/파우치/스티커부터 시작하세요. 작은 소품은 감성과 취향을 전하기에 가장 좋은 실험 재료입니다.

💡 Step 3. 리미티드 드롭

3주에 한 번씩 금요일 저녁 드롭 고정. 습관적 방문을 유도하는 습관 설계 전략.

💡 Step 4. 고객 피드백 기반 디자인

인스타 댓글/스토리 투표로 결정 → 참여형 드롭 기획.


실행 가능한 팁, 이렇게 시작해 보세요

수준 아이디어 실천방법
기본 감성 피드 설계 시간대+장소+감정 중심 콘텐츠 운영
실행형 소량 굿즈 드롭 최대 50개, 주문제작, DM 사전주문
확장형 팬참여형 디자인 커뮤니티 투표 → 제품화 → SNS 인증 유도
 

브랜드를 만들고 싶은 이들에게

마뗑킴의 사례는 브랜드 창업을 꿈꾸는 이들에게 매우 실질적인 메시지를 전해줍니다.

감성을 브랜드로 만드는 일은, 결국 자신만의 시선과 언어로 세상과 연결되는 작업입니다. 처음엔 인스타그램 피드 하나에서 시작해도 됩니다. 옷을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엽서, 파우치, 작은 굿즈부터 시작해서 무드를 쌓아가세요. 중요한 것은 톤과 감각, 그리고 그것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힘입니다.

제품은 그다음입니다.

미니 드롭 방식으로 소량을 제작하고, 팬덤과 소통하면서 다음 제품을 기획해 보세요.

구매는 단지 거래가 아니라, 나와 브랜드가 감정으로 연결되었다는 확인의 행위입니다. 그 구조가 설계된다면, 브랜드는 생각보다 더 빠르게 단단해질 수 있습니다.


마뗑킴이 증명한 것

마뗑킴은 브랜드의 본질이 규모가 아닌 관계라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작은 브랜드도 시장을 설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증명했습니다. 이 브랜드는 스타일을 넘어, 오늘의 나를 응원해 주는 작은 언어가 되어주었습니다.

지금 감정에 집중한 브랜드를 꿈꾸고 계시다면, 마뗑킴은 단지 참고 자료가 아니라, 아주 현실적인 하나의 모델입니다.

그리고 그 출발선에 지금 서 있는 분들에게 이 브랜드의 방식은 나도 할 수 있다는 희망을 줄 것입니다.



반응형